부부

  1. Home
  2. /
  3. 부부
  4. /
  5. 세 아이의 엄마, 요코자와...

세 아이의 엄마, 요코자와 나츠코 씨 인터뷰
하루를 무사히 마치면 우승!

 3명의 자녀를 키우면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개그 라이브, CF 등에서 맹활약 중인 요코자와 나츠코 씨. ‘냐짱’이라는 애칭으로 친숙한 요코자와 씨에게 바쁜 일상을 이겨내는 비결, 육아를 통해 부부가 겪은 변화 등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요코자와 나츠코 씨 사진
세 딸과 함께 하는 바쁜 일상

 4살, 2살, 1살(※ 취재 당시) 딸 셋을 모두 어린이집에 맡기고 저는 그 사이에 일을 하고 있어요. 매일 아침 아이들을 어린이집에 보낼 때까지와 저녁에 데리러 와서 재울 때까지가 가장 힘들어요.
 아침 5시에 세 딸이 일어나고, 그 후 가족들이 차례로 일어나 6시에 아침밥을 먹는다. 어린이집 준비는 남편이 해주기 때문에 그 사이에 저는 아이들 밥을 먹이고 양치질과 옷을 갈아입히고 7시 25분에 남편이 세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줍니다.
 저녁에는 내가 아이들을 데리러 갔다가 17:30에 귀가한다. 배가 고프면 짜증이 나기 때문에 저녁을 준비하기 전에 제가 먼저 무언가를 먹습니다. 슈크림이나 칼로리가 높은 과자가 많아요. 그리고 아침에 만들어 두었던 반찬을 ‘아침에 요코자와 나츠코에게 고맙다’고 말하면서 따뜻하게 데워 18시에 저녁을 먹고, 18시 반부터는 놀거나 이야기를 나누면서 목욕을 한다. 그 후에도 에너지가 남아도는 아이들과 꼬리잡기 등으로 신나게 뛰어놀다가 20시에 소등. 드디어 3명이 잠든 21시 이후가 나만의 시간이다.

요코자와 나츠코 씨의 육아 사진
모두 재우고 난 후의 성취감!
아무 일도 없는 날은 기적! 아이들의 ‘처음’으로 즐거움도 3배!

 아이들은 매일 당연하게 어린이집에 가지만, 감기나 열이 나서 못 가게 되면 “오늘 하루는 어떻게 해야 하나!” 라고 매번 고비를 넘기곤 합니다. 베이비시터나 병간호 등 몇 가지 보험을 준비해 두었지만,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는 대처가 어려울 때도 있어요. 저나 남편 중 한 쪽의 일정을 조정해서 어떻게든 대처할 수 없을까, 작전 회의가 항상 정말 힘들어요. 하루가 아무 일 없이 끝나는 건 기적 같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즐거운 일도 세 배로 많아요. 큰딸은 ‘세상은 내 거야’라는 식의 자기주장형, 둘째는 수줍음이 많은 아이, 셋째는 눈만 마주쳐도 웃어주는 아이, 세 아이 모두 성격도 다르고 반응도 제각각이에요.
 아이들의 ‘처음’을 만나는 것도 즐겁다. 처음 눈을 보았을 때, 처음 소풍 가서 도시락을 만들어 주었을 때, 처음 친구에게 편지를 받았을 때 등 ‘이런 표정을 짓는구나’, ‘이런 감정을 느끼는구나’라고 생각하니 귀엽다. 저도 제가 기억하지 못하는 어린 시절의 ‘처음’을 다시 체험할 수 있고, 대체할 수 없는 경험을 맛볼 수 있다는 게 정말 기쁩니다.

요코자와 나츠코 씨 가족사진
가족과 함께한 유원지에서의 점심시간
“나짱식” 마음의 여유를 갖는 사고법이란?

 육아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거절해야 할 때도 있다. 그건 아이 탓도 아니고 내 탓도 아니다. 그럴 때는 ‘분명 하나님이 지금은 일하지 말라고 하시는 거야’라고 하나님 탓으로 돌리면 마음이 편해져요.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포기하게 되죠. 그리고 저는 아침 드라마를 좋아하는데, 아침 드라마는 대개 목요일에 울면서 시작해서 금요일에 ‘다음 주에도 좋은 일이 있을 거야, 힘내자’로 끝이 나잖아요. 힘들 때는 ‘목요일이구나’라고 생각하면서 ‘나츠코는 우울해졌구나’라고 생각해요. 이 후에 좋은 일이 생길 줄도 모르고’라고 머릿속으로 내레이션을 넣어요(웃음) 힘들 때일수록 최대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려고 노력해요.

자녀가 늘어나면서 ‘부담감’이 ‘여유’로 바뀌다

 첫째 때는 이것도 저것도 ‘절대 내가 할 수 있다’는 의욕이 넘쳤어요. 그런데 둘째가 되면서 남편이 움직여주지 않으면 ‘손이 부족하다’, 셋째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면서 마음을 다잡았다고 해야 하나, 포기했다고 해야 하나,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남편에게도 처음에는 ‘낮잠을 재우지 않았어? ‘, ‘설거지, 아침에 한 것 그대로잖아’ 등 집에 돌아가면 안 되는 것, 하지 않은 것들만 눈에 들어와서 자주 싸우고, ‘또 한 명의 요코자와 나츠코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우선은 ‘아이를 봐줘서 고맙다’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을요. 내 규칙뿐만 아니라 남편의 규칙도 있다.
 모든 것이 내 뜻대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가사-육아 분담에 대한 만족도도 많이 달라졌다. 지금은 만족도가 80%, 90% 정도 되는 것 같아요. 나머지 10%는 ‘고맙다’는 말 한마디가 전부인 것 같아요. ‘수고했어, 고마워’라는 말을 들으면 얼마든지 열심히 할 수 있어요. 힘들었다는 걸 알아주고 ‘고맙다’는 말까지 해주면 정말 행복할 것 같아요.

요코자와 나츠코 씨 사진

남편이 육아를 경험하면서 부부가 겪게 된 변화들

 셋째가 태어났을 때 남편이 육아를 했어요. 육아를 하면서 한 달에 한 번씩 건강검진이나 예방접종을 받으러 갈 때, 종이에 적는 것도 남편이 다 해주고 ‘가면 반드시 누군가가 알려줄 테니 괜찮다’며 보냈어요. 그 후 제가 “오늘 건강검진 다녀올게”라고 말했더니 처음으로 ‘고맙다’고 말해주었어요. 육아를 한 덕분에 ‘건강검진은 나도 갈 수 있는 것’이라는 인식으로 바뀐 거죠. 반대로 저도 그전까지는 건강검진은 제가 편한 대로 가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지해도 좋다는 걸 깨달았어요. 여러 부분에서 서로 성장하고 있는 거죠.

‘이름 없는 집안일’ 분담에 대한 막막함도 ’10점 게임’으로 해소!

 부부의 가사 분담은 ’10점 게임’으로 정한다. 집안일 10가지를 나열해 ‘가장 싫은’ 10점부터 ‘싫지 않은’ 1점까지 점수를 매긴다. 남편은 요리가 10점, 빨래 널기가 2점, 나는 빨래 널기가 8점이기 때문에 ‘요리는 내가 할 테니 빨래 널기는 너나 해’라고 분담할 수 있다. 서로가 서로에게 부담이 덜한 일을 하니까 스트레스도 덜 받아요.
 ’이름 없는 집안일’이라고 하면, 예를 들어 ‘쓰레기 버리기’ 쓰레기봉투를 세팅하는 것이 있지 않습니까? 한번은 부부가 ‘쓰레기 버리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가 쓰레기 수거와 쓰레기 버리기로 나누기로 했어요. 게다가 쓰레기 수거를 한 사람이 쓰레기봉투를 챙긴다는 규칙까지 세세하게 정해서 분담하고 있습니다. ‘이름 없는 집안일’도 항목으로 적어서 서로 점수를 매겨서 보여주면 ‘어? 이게 그 점수였구나’라며 즐거워하고, 부부가 함께 즐기면서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자신에게 주는 보상은 ‘하코네’와 ‘아타미’

 주말에는 긴 목욕 시간으로 피로를 풀고 있다. 아이를 재운 후 불을 끄고 촛불을 켜고 1시간 동안 푹 담그고 목욕을 한다. 나는 그것을 ‘하코네’라고 부르는데, 가끔은 2시간 코스의 ‘아타미’가 되기도 한다(웃음). 남편이 “오늘 하코네에 가는 거야?” “아타미도 괜찮아”라고 말해주기도 하는데, 그 대화도 즐겁다.
 주말 밤을 알차고 즐거운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친구를 불러 아이가 깨지 않도록 거실에서 수다를 떠는 ‘은밀한 다과회’를 하기도 한다. 몸은 피곤해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마음이 활기차고 상쾌해지는 것 같아요.

요시모테오 극장에 탁아소를 만들고 싶다 육아 중인 엄마 아빠들에게도 웃음을 선사하고 싶다!

 육아를 하다 보면 아이를 보고 귀엽다고 웃음이 터져 나올 때도 있지만, 속마음으로 웃을 일은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극장에서 공연할 때에도 아기가 울면서 ‘죄송합니다’하고 나가는 엄마들을 자주 보곤 했는데, 그래서 여기저기서 ‘예스모테오 극장에 손님들을 위한 탁아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하곤 했어요. 그러다 보니 오오미야 극장에 임시 탁아소가 생겼어요. 저는 베이비시터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서 보육사분들을 응원하러 갔는데, 보육실을 이용한 엄마들이 ‘정말 즐거웠다’고 말해줘서 저도 정말 기뻤어요. 육아로 바쁜 아빠, 엄마들을 위해 언젠가 상설 보육시설을 만드는 것이 꿈이에요.
 길거리에서 저와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데리고 다니는 엄마들을 보면 동료가 많다는 사실에 용기를 얻게 되죠. 서로 너무 무리하지 말고 ‘오늘 하루를 무사히 마칠 수만 있다면 승리다! ‘라는 정도의 마음으로 가자고요.

요코자와 나츠코 씨 사진